Q | 파일 저장시 주의사항은? |
![]() |
A |
· 한 번에 출력하는 데이터는 1개의 오브젝트로 합쳐져있어야합니다. (단순히 group 이 아니라 합치기 Boolean Union을 해야합니다.) · 나눠서 출력할 데이터들은 각각 저장하여 압축해서 보내주셔야 합니다. ![]() |
Q | 한번에 가능한 최대 출력 크기는 어떻게 되나요? |
![]() |
A |
· 크기제한 없이 출력이 가능합니다 ( 파팅 후 접합 등 ) · 한번에 가능한 최대 출력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모델링을 2개 이상 파트로 분할하여 출력을 진행합니다. · 2000 X 1000 X 700 (가로 X 세로 X 높이mm) 으로 출력이 진행됩니다. (한번에 가능한) · 한번에 가능한 최대 출력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:1문의를 부탁드려요. ![]() |
Q | 파일 형식은 어떻게 되나요? |
![]() |
A |
- STL, STP, OBJ 중에 하나의 확장자로 권장합니다. STL를 가장 추천드립니다. (파일 저장시 적절한 해상도와 파일크기를 주의해주세요.) ![]() |
Q | 파일 저장 시, 적절한 해상도와 파일크기는? |
![]() |
A |
Tolerance 값 0.01 ~ 0.005 Active points 50만개 ~ 100만개 ㆍ모델링을 완료하고 Mesh의 밀도나 해상도를 확인해야해요. ㆍ밀도나 해상도가 너무 낮은 경우, 최종 STL 파일에 나타나는 각진 형태가 그대로 출력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. ㆍ밀도나 해상도가 너무 높은 경우, 파일의 크기만 커져 작업시간과 과정이 길어져요. ㆍ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적당한 밀도와 해상도로 파일을 저장해주세요. ![]() |
Q | 한개의 파일에는 한개의 출력 데이터만 넣어야 하나요? |
![]() |
A |
· 한개의 파일에는 한개의 출력데이터만 저장하여 보내주셔야 합니다. ex) 3개의 파트를 출력 하시려면 각각 저장하여 3개의 데이터를 압축하여 보내주셔야 합니다. ![]() |